서양 대 중국의 지역주의

중국 고고학이 전통 학문의 무게에서 벗어나기 어려웠듯이, 안데르손이 앙소문화 발굴을 토 대로 내놓은 중국 문명의 서방기원설도 이미 상당한 역사를 지니고 있었다. 17세기 독일 예수 회 수사 아타나시우스 키르허(Athanasius Kircher, 1601 혹은 1602-1680)가 이집트 상형문 자와 중국 문자의 유사성에 의거하여 중국인의 조상이 이집트인의 한 지파라는 가설을 내놓은 이래, 19세기까지 바빌론과 인도, 중앙아시아 유래설이 추가되었다. 물론 소수의 학자가 중국 본토 유래설도 제기했고, 이러한 모든 주장이 현대의 관점에서 증거가 박약함은 분명하다.75) 하지만 중국 전설상의 선조인 黃帝가 원래 카스피해 동쪽에서 기원하여 바빌로니아를 거쳐 감 숙성으로 들어왔다는 프랑스 동양학자 테리앙 드 라쿠페리(Terrien de Lacouperie, 1844– 1894)의 주장이 일본 교과서에 실려 章炳麟(1869-1936) 같은 학자에게도 수용되었다는 사실 은 안데르손의 앙소문화 발견 시점까지도 서방기원설이 유럽 학계의 대세였음을 보여준다.76)

안데르손은 1914년부터

중국 내 다양한 지역의 지질조사와 초보적 고고학 조사에 참여하며 당시 세계 학계의 선사시대 연구 추세에 따라 중국 현생 인류의 기원 및 그 서방과의 관련성 에 관심을 가져왔다.77) 그는 1920년 중국 발굴을 위해 스웨덴 정부에 기금 지원을 요청했고, 이 발굴이 40~50년 전 이집트와 그리스, 로마의 발굴에 버금갈 것으로 예상한 오스카 몬텔리 우스(Oscar Montelius, 1843-1921)의 후원에 힘입어 기금을 확보했다.78) 그해 가을 洛陽 지 역으로 파견된 안데르손의 조수 劉長山이 하남성 澠池縣 仰韶村에서 석기 수백 점을 구입한 것이 앙소문화 발굴의 계기가 되었다. 1921년 4월 21일 안데르손은 민지에서 앙소촌으로 가 는 도중 촌 남쪽의 협곡을 지나다 침식된 언덕의 단면에서 주로 紅陶로 구성된 문화층을 발견 했다.79) 중국 고고학사를 뒤흔든 이 발견은 10월 27일부터 12월 1일까지 정식 발굴로 이어 져, 다수의 채도와 함께 도기 편에서 뒤에 벼농사의 흔적으로 확인된 곡물을 발견했다.앙소촌과 그 인근에서 동물뼈와 식물 화석도 수습했지만, 유물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도기 편이었다.81) 앙소의 유물들에서 신석기 후기의 원형 중국을 예감한 안데르손은 당시 중국에서비교 대상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해외의 보고서로 눈을 돌렸다. 미국의 지질학자인 라파엘 펌 펠리(Raphael Pumpelly, 1837-1923)가 이끈 탐사단이 1904년 중앙아시아 투르크메니스탄의 아나우(Anau) 지역에서 발견한 토기가 안데르손의 눈길을 사로잡았다.82)

1922년 1월 24일 북경에서 거행한 강연

에서 그는 앙소와 아나우 채도의 놀랄만한 유사성을 강조하며, 앙소의 채도가 아나우 같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오늘날 우크라이나 의 트리폴제(Tripolje) 지역에서 출토된 채도와의 유사성 역시 이를 뒷받침한다고 보았다(그림 1, 2 참조). 안데르손은 영국박물관의 근동 도기 전문가인 로버트 홉슨(Robert L. Hobson, 1872-1941)에게 앙소의 도기 샘플을 보내 분석을 요청했고, 그것들이 명확히 바빌론에서 페 르시아, 소아시아, 트리폴제에 이르는 근동 지역과 그리스의 테살리아(Thessaly) 지역에서도 발견된 도기들과 동일한 장식군에 속한다는 답변을 받았다. 당시 함께 분석을 요청한 독일 고 고학자 휴버트 슈미트(Hubert Schmidt, 1864-1933)의 유보적 의견에도 불구하고,83) 앙소문 화를 중국의 왕조시대 직전 문화로 인식한 안데르손은 근동의 신석기 문화들이 중국보다 명백 히 빠르므로 근동의 도기가 중앙아시아를 통해 중국으로 전파되었으리라 가정했다. 이제 투르 크메니스탄의 아나우와 하남성의 앙소촌 사이에서 그 전파의 연결고리를 찾으면 자신의 가설 을 입증할 수 있을 터였다. 1923년 6월부터 1924년 여름까지 두 시즌에 걸친 서북 탐사는 靑海省 西寧 인근의 앙소문 화 도기 유적 발굴로 시작되었다. 앙소촌과의 상당한 거리에도 불구하고 기대치 않은 유사한 도기 발견에 고무되어 발굴 지역을 확대했다. 朱家寨에서 대형 신석기 유적을 발견했고, 특히 卡窯의 묘지에서 앙소 지역과 유사한 석기나 골기뿐만 아니라 소형 동기를 다수 발굴했다. 감 숙성의 河西 주랑에 위치한 沙井에서도 채도와 소형 동기들을 수습했는데, 도기의 문양이 근 동의 신석기 도기들과 매우 유사해 보였다. 따라서 1923년 말까지 앙소문화와 훨씬 서쪽의 고전적 신석기 문화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았다고 간주하며 앙소문화가 서북쪽의 감숙성에서 훨씬 성숙하게 발전했으리라 추정했다. 나아가 서쪽으로부터 이주해온 앙소문화에 뒤이어 청 동기 문화 역시 서방에서 유입되었고, 정착 농민인 이들이 원중국인을 구성했을 것으로 보았 다.

1924년 감숙성의 2차 발굴

에서는 자신의 원래 이론과 상반되게 앙소문화보다 늦은 초기 청 동기시대 유적을 다수 발견했다. 洮河 유역의 辛店에서 신석기에서 청동기시대에 이르는 선사 유적들을 발견했다. 특히 洮少 유적에서 발견된 앙소문화 도기의 문양과 상당이 다른 직선으 로 얽힌 문양(rectilinear meander)이 상주 청동기 문양의 원조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齊家坪에서 발견된 손잡이 달린 대형 항아리(罐)를 연대가 앙소기에 앞서 연대가 가장 올라가 는 것으로 보았다.84) 馬家窯에서 동물과 파충류(특히 개구리)를 모티프로 한 상상적 선형 양 식이 그려진 채도와, 半山에서 발견된 묘지를 모두 앙소 시기의 것으로 편년했다. 이러한 유적들은 뒤에 중국학자들의 수정을 거쳐 안데르손의 서방기원설을 반증하는 근거로활용되었지만, 안데르손은 감숙의 史前 문화를 6기로 분류하며 辛店文化가 앙소문화를 바로 계승한 것으로, 동기가 발견된 西寧 인근이나 沙井의 유적 등이 그 뒤를 잇는 것으로 추정했 다. 나아가 1924년 丁文江(1887-1936)85) 등에게 보낸 현장 서신 보고에서 “서방으로부터의 이주”나 “洮河 유역으로 새로운 종족의 침입”, “아직 불분명한 중심지로부터 새로운 도기 제 작 기술 도입” 등을 언급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같은 해 스웨덴의 저널에서 자신의 연 구를 되돌아보며 중국인이 내륙 아시아로부터 신강이나 감숙성을 거쳤거나, 신강이나 감숙성 에 위치한 중심지로부터 하남성으로 이주했으리라는 견해를 제시했다. 베른하르트 칼그랜 (Bernhard Karlgren, 1889-1978)이 즉각 이 새로운 유입자들이 황하 유역에서 이미 번성하 던 진짜 중국인에 동화되어 도기 제작 기술을 더 정교하고 풍부하게 해주었으리라 반박했고 안데르손 역시 이를 수용했지만, 두 학자 모두 근동으로부터의 영향은 믿어 의심치 않았다.86)

1930년대 초반까지 안데르손의 “서방기원설”

은 굳건한 지위를 유지했다. 이제 공은 중국학자들의 손으로 넘어갔다. 중국 고고학사는 아무리 강한 학술 전통이라도 과학에 기초한 근대 학문의 새로운 파고에 무력할 수밖에 없었음을 잘 보여준다. 안데르손이 종횡무진 앙소문화의 발견을 세계 고고학계에 타전하고 있던 1923년에야 李濟가 하버드대학 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제는 고고학을 공부하기는 했어도 주로 민족학과 형질인류학으로 훈련을 받은 인류학 박사였다.87) 그를 현장 고고학자로 자리매김한 중국인 최초의 발굴 역시 1925~26년 山西省 夏縣 西陰村의 앙소문화 유적이었다. 이 발굴을 통해 그는 앙소 시기의 서 음촌에서 제작된 도기가 기술적 측면에서 중앙아시아와 근동의 동류 기물보다 훨씬 낫다고 보 아 중국에서 발견된 채도가 확실히 서방에서 기원한 것인지 단정할 수 없다고 했다.88) 중국인 최초로 서방의 정규 고고학 교육을 받은 梁思永(1904-1954) 역시 하버드대학 박사학위 취득 전후인 1930년에 쓴 글에서 아나우(Anau)의 채도와 서음촌 및 그 주변의 채도를 비교하여 이 른 시기에 유사성이 보이지만 점차 유사성이 현저히 감소함을 지적하면서도, 중국 신석기 채 도의 발상지 및 아나우 채도와의 관계는 아직 해결되기 어려운 문제라고 보았다.89) 중국 고고 학의 미래를 짊어진 두 학자 모두 학위 취득 전후에 앙소 채도를 최초의 연구 주제로 삼았다 는 사실에서 안데르손의 주장이 끼친 파급력을 짐작할 수 있다. 이들이 안데르손의 서방전래 설에 회의를 표명할 뿐 강하게 반박하지는 못했다는 사실90)은 당시 중국 학계의 현주소를 잘 보여준다.